곧 다가오는 명절에는 제사를 지내는 분들이 많습니다. 명절이 아니여도 매달 제사를 지내시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제사상에는 지방을 쓰는게 필수입니다.
자주 쓰지 않는 분들은 매년 2~3번이기 때문에 규격이나 형식, 쓰는 법을 잊어버려 매번 검색을 하여 찾아보게 되는데 조부모, 부모, 배우자마다 지방을 쓰는게 다르기 때문에 주의해서 써야 합니다.
○ "지방"이란
신주를 모시지 않는 집안에서 차례나 기제사때 종이에 써서 모신 신위
신주의 크기와 같이 창호지에 오려 신주의 분면에 쓰여진 격식대로 적어 제사에 모셨다가 제사가 끝나면 축문과 함께 태워버려야 합니다.
<제사 지방 쓰는 규격>
- 종이는 한지 또는 창호지
(A4용지나 전지에 써도 무방)
- 가로 6cm , 세로 22cm
- 예전에는 한자로 적었으나 지금은 한글로 적어도 괜찮으니 편한 쪽을 선택하여 작성 하시면 됩니다.
- 고인이 남성이면 왼쪽, 여성이면 오른쪽에 적어야 합니다.
※ 할아버지와 할머니 지방 쓰는법
각각 현고와 현비 사이에 '조(祖)' 를 추가하고, 증조일 경우에는 '증조'를 추가해야 합니다.
※ 아버지 지방 쓰는법
위에서 아래로 '현고, 학생, 부군, 신위' 로 읽고 각 한자가 뜻을 나타내니 순차적으로 내려가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 현고: 모시는 조상
- 학생: 조상의 지위
- 부군: 조상의 이름
- 신위: 조상의 자리
※ 어머니 지방 쓰는법
위에서 아래로 '현비, 유인(ㅇㅇ), 신위'로 읽고 공백란은 고인의 본관을 기입하는 곳으로 밀양 박씨 또는 김해 김씨 와 같은 본관을 기입하면 됩니다.
※ 남편, 아내, 형, 동생 쓰는법
- 남편은 '현벽', 아내는 '망실', 형은 '헌형', 동생은 '망제' 라고 기입합니다.
고인의 관계 다음 직위를 적고, 관직이 있다면 해당 관직을 쓰면 됩니다. 없을 경우에는 남성은 '학생', 여성은 '유인'을 적으시면 됩니다.
고인이 남성일 경우 '부군'으로 통일하고 여성일 경우 본관과 성씨를 쓰고 마지막으로는 '신위'를 적어주면 됩니다.
지방을 작성하기 전, 제사 차례상을 준비하는데 차례상에는 각 열마다 놓는 음식의 순서와 방향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무턱대로 마음대로 올려놓는다면 큰 실수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차례상차림에는 주의사항이 많기 때문에 좋은 마음으로 제사상을 차렸다가 모든 형식에 틀려 큰 화를 일으킬수도 있으니 꼭 한번 더 확인하셔서 필요한 사항은 체크하여야 됩니다.
○ 제사 지방 작성시 주의사항
1. 고인의 제사를 모시는 사람 기준으로 작성
2. 지방을 재사용하는건 금지
(꼭 한번 쓴 지방은 태워없애버려야 집안에 우환이나 안좋은 일이 안생깁니다.)
3. 고인이 1명일 경우 가운데 기입하고, 2명일 경우 남자가 왼쪽이고 여자가 오른쪽에 기입